Plant 썸네일형 리스트형 특이한 유칼립투스 종류 - 무지개 유칼립투스 (유칼립투스 디글럽타) 저번 유칼립투스에 대해 알아보던 중 위키피디아에서 아주 흥미로운 사진을 발견했다. 알록달록한 나무. 마치 페인트 칠을 한 것만 같다 신기하다. '디글럽타'또는 '데글루프타' 디글럽타 누르니까 데글루프타라고 나온다. 다른 이름은 훨씬 직관적이다. "rainbow eucalyptus" '레인보우 검'이라고도 부르는 듯하다. 레인보우 유칼립투스는 다른 유칼립투스와는 다르게 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가 원산지라고 한다. 하지만 저번에 포스팅 했듯이.. 이 유칼립투스도 기름이 많다. 그리고 기름이 많은 이파리와 껍질을 흙위에 떨어뜨린다. 그래서 숲은 화재의 위험에 노출된다. 그래서 요즘은 이 유칼립투스도 없애는 경우가 많고 하와이 같은 관광지에 관상용으로 쓴다고 함. 묘목일 때는 특별한 것은 보이지 않는다. 이 나.. 더보기 유칼립투스 키우기(자생지, 특성, 효과) 일단 유칼립투스에 대해 알아보자 자생지 : 호주 대부분의 유칼립투스 나무는 호주가 원산지이다. (일부가 뉴기니, 말레이시아 반도 남부에서도 살고 있다.) 호주 숲의 약 4분의 3이 유칼립투스 숲이다. 앞으로도 쓰겠지만 유칼립투스는 기름이 많다. 그래서 그런가 호주에서 산불은 드물지 않다고 한다..ㅜ 다행인 건지 아닌 건지 유칼립투스는 화재에 적응하고 화재 이후에도 자라나는 경우도 있다. 씨앗도 화재에 잘 견딘다고 한다. 외형 : 잎 나무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이파리는 길쭉한 모양도 있고 우리 집에 있는 나무같이 타원형인 잎도 있고 요즘 한국에서 인기가 많은 유칼립투스는 잎이 둥근 형태인 것 같다. 카페에서도 많이 볼 수 있었다. 확실히 예뻐 보임. 특히 '폴리안'이라는 품종이 인기가 많은 것 같다. 외.. 더보기 디시디아에 대하여 (2022.02.20 화분일기) 1. 디시디아 애플 우리 집 디시디아. 베란다에서 추운 겨울 동안 별로 관심도 못 받은 디시디아. 2021년 여름에 들어왔는데 그 때보다 노래진 것 같다. 이유가 뭔지 정확히는 모르겠는데 일단 추위 때문인가 싶어서 안으로 들여놨다. 디시디아에 대해 찾아 보았는데 다른 식물에 비해 정보가 많지 않다. 디시디아에 대해 알아보자. 1. 이름 진짜 이름은 '디스키디아'(dischidia)라고 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디시디아라고 부른다. 왜 디시디아가 되엇을까? 2. 고향 중국, 인도, 인도차이나 반도의 '열대지역'에서 자생한다고 한다. 하위 종은 위키백과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 만으로 122가지이다. 대단한데? 맨 위에 있는 우리 집 디시디아 애플은 둥글고 잎이 두꺼운 편인데 다른 디시디아들은 또 다른 특징을.. 더보기 아보카도 일기 '어린 잎'편 2022.02.12 아보카도의 빠른 성장에 놀랐던 나.. '아가 잎도 관찰 해볼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얗다. 하얗고 작다. 9일이 지났는데 저번 일기에서 기록했던 잎의 성장속도를 생각해보면 거의 그대로라고 생각할 수 있다. 찬 물도 위 아래가 있다~~ 이 말이야 라는 말이 이 상황에 맞는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성장하고 있는 잎이 다 자란 후에 그 다음에 자라는 것 같다. (다~~~ㅎ 차례가 있다 이거야) 구부러진 아가 잎... 꼭 쌀보리 게임처럼.. 이유를 추측해보자면 바로 햇빛 때문 인 것 같다. 아보카도는 햇빛을 특히 좋아하는 식물. 실내에서 기르기 때문에 햇빛이 한 방향에서만(창 쪽에서만) 비춘다. 극한의 효율을 위해 잎을 스스로 꺾어버린듯 그래서 화분을 돌려주었다. 다시 똑바로 자라길 바라며.. 그런데, 잎의 ..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